2024/12 13

float 타입의 저장 방식, 부동소수점, IEEE 754

부호 : 양수 0, 음수 1지수 : 2^(지수부 - 1) + 정규화 후 지수가수 : 정규화 후 가수   정규화1 + 0.1234 x 10^2 의 형식으로 만든다  32비트 컴퓨터에서 12.375 가 어떻게 저장되는지 계산해보자 12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11000.375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0.011더하면 1100.011 x 2^0정규화하면 1.100011 x 2^3부호는 양수니까 0지수는 2^(8 - 1) + 3 = 127 + 3 = 130 = 10000010가수는 1.100011 에서 1을 빼고 100011결과는 0 10000010 10001100000000000000000 32비트, -118.625118(10) = 1110110(2)0.625(10) = 0.101(2)1110110.101 x 2^01..

공부/AI 2024.12.04

컴퓨터 공학 (CSE) - Computational Thinking

CES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계산 가능하게 하는 것Computational Thinking :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게 문제를 정의하는 것Problem Solving : 컴퓨터가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게 하는 것  Computational ThinkingDecomposition (분해) : 전체 문제를 작은 여러가지 문제로 나누는 과정Pattern Recognition (패턴인식) : 주어진 문제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을 찾는 과정Abstraction (추상화) : 문제에서 해결해야할 주요한 정보를 수치화(또는 계산 가능하게) 하는 과정Algorithmic Thinking (알고리즘) : 문제 해결 방식을 step-by-step으로 만드는 과정  예제1) 도서관에서 책 추천 시스템 구..

공부/AI 2024.12.04

통계학 Statistics 공부 for AI - 2

노름(Norm)노름(Norm) 이란 벡터의 크기 또는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. 벡터가 원점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값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 노름의 종류노름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,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름은 다음과 같습니다.L1 노름: 각 성분의 절댓값의 합입니다. 맨해튼 거리라고도 합니다.L2 노름: 각 성분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입니다. 유클리드 거리라고도 합니다.L∞ 노름: 각 성분의 절댓값 중 가장 큰 값입니다. 최대 노름이라고도 합니다. ||x||p: 벡터 x의 Lp 노름 n: 벡터 x의 차원 (성분의 개수) xi: 벡터 x의 i번째 성분 p: 노름의 차수 (1, 2, ∞ 등) L1 노름 수식   L2 노름  L∞ 노름  노름에 따른 기하학적 의미 유사도유사도(Sim..

공부/AI 2024.12.01
반응형